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20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205개 세 글자:312개 네 글자:336개 다섯 글자:132개 여섯 글자 이상:162개 모든 글자:1,148개

  • : (1)살과 근육이 마비되어 감각을 느끼지 못하는 병증. (2)중국 전한의 학자ㆍ정치가(?~?). 초나라 사람으로, 고조를 섬겨 태중대부(太中大夫)가 되고, 여씨(呂氏)의 난에 유씨(劉氏)를 도와 한나라 왕실을 지켰다. 저서로 ≪신어(新語)≫, ≪초한춘추(楚漢春秋)≫가 있다.
  • : (1)여섯 개의 직선에 싸인 평면. (2)북, 장구, 해금, 피리, 태평소 둘로 이루어진 악기 편성. (3)실감이 나도록 조금 도드라지게 새김.
  • : (1)‘육려’를 달리 이르는 말. (2)예전에, 쇠고기나 돼지고기 따위의 고기를 끊어 팔던 가게. ⇒규범 표기는 ‘푸줏간’이다.
  • : (1)다섯 가지 감각 기관으로 느낄 수 없는 감각. (2)육체가 느끼는 감각. 또는 육체의 감각. (3)성적(性的)인 느낌.
  • : (1)천간(天干)의 갑(甲)ㆍ을(乙)ㆍ병(丙)ㆍ정(丁)ㆍ무(戊)ㆍ기(己)ㆍ경(庚)ㆍ신(辛)ㆍ임(壬)ㆍ계(癸)와 지지(地支)의 자(子)ㆍ축(丑)ㆍ인(寅)ㆍ묘(卯)ㆍ진(辰)ㆍ사(巳)ㆍ오(午)ㆍ미(未)ㆍ신(申)ㆍ유(酉)ㆍ술(戌)ㆍ해(亥)를 순차로 배합하여 예순 가지로 늘어놓은 것.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이다. (2)남이 하는 말과 행동을 비속하게 이르는 말.
  • : (1)개를 기름.
  • : (1)경(庚)의 간(干)에 지(支)가 붙은 여섯 날. 경자, 경인, 경진, 경오, 경신, 경술을 이른다. (2)육조(六曹)의 판서. (3)중국 주(周)나라 때에 둔, 육관(六官)의 우두머리. 대총재, 대사도, 대종백, 대사마, 대사구, 대사공을 이른다. (4)중국 춘추 시대의 여섯 가지 경서(經書). ≪역경≫, ≪서경≫, ≪시경≫, ≪춘추≫, ≪예기≫, ≪악기≫를 이르는데 ≪악기≫ 대신 ≪주례≫를 넣기도 한다. (5)육식(六識)으로 깨닫는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을 통틀어 이르는 말. (6)오경(五經)의 하나. 살이 뻣뻣하여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증상이다.
  • : (1)만물을 생성하는 여섯 가지 요소. 지대(地大), 수대(水大), 화대(火大), 풍대(風大), 공대(空大), 식대(識大)를 이른다. (2)삼악도와 삼선도(三善道)를 통틀어 이르는 말. 중생이 선악의 원인에 의하여 윤회하는 여섯 가지의 세계이다. (3)육신(肉身)의 세계. 육체 또는 육체가 작용하는 범위를 이른다. (4)5~6년 이상 자란 계수나무의 두꺼운 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건위제와 강장제로 쓴다. (5)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 인간이나 천상에서 볼 수 없는 일이므로 이렇게 이른다. 부처의 팔십수형호의 하나이다. (6)주로 고기를 얻으려고 살지게 기르는 닭. (7)녹나뭇과의 ‘육계나무’의 나무껍질을 그대로 말리거나 주피를 일부 제거하고 말린 생약.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시남알데하이드’ 따위의 정유 성분, 방향족 배당체, 디테르페노이드(diterpenoid), ‘탄닌’ 따위를 함유하고 있다. 위장관 운동 항진, 항알레르기 작용, 혈관 확장 작용에 효과가 있어 하열, 건위, 혈액 순환 촉진 따위에 쓴다.
  • : (1)각 관아에 속하여 육류를 공급하던 푸줏간.
  • : (1)여섯 가지의 곡물. 벼, 기장, 피, 보리, 조, 콩을 이른다.
  • : (1)뼈와 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다시 살아나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사람의 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여섯 공인(工人). 토공(土工), 금공(金工), 석공(石工), 목공(木工), 수공(獸工), 초공(草工)을 이른다.
  • : (1)중국 당나라 초기에 치르던 과거(科擧)의 여섯 과목. 수재(秀才), 명경(明經), 진사(進士), 명법(明法), 명서(明書), 명산(明算)을 이른다. (2)조선 시대에, 육품으로 승급할 수 있던 벼슬. (3)살과 즙이 많아서 익은 뒤에도 마르지 않는 열매. 사과, 복숭아 따위가 있다.
  • : (1)고려 시대에, 상서성에 속하여 주요한 나랏일을 맡아보던 여섯 관아. 선관(選官), 병관(兵官), 민관(民官), 형관(刑官), 예관(禮官), 공관(工官)을 이르는데, 뒤에 육부(六部)로 고쳤다. (2)중국 주나라 때에 둔 여섯 개의 중앙 행정 기관. 천관(天官), 지관(地官), 춘관(春官), 하관(夏官), 추관(秋官), 동관(冬官)을 이른다. (3)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 빛깔이 붉고 시울이 톱니처럼 생겼다.
  • : (1)덩어리로 된 짐승의 고기. (2)살로 이루어진 덩어리.
  • : (1)남녀 간의 성교. (2)번잡한 도로나 철로 위를 사람들이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공중으로 건너질러 놓은 다리. (3)움푹 팬 곳이나 골짜기 따위를 건너도록 걸쳐 놓은 다리. (4)대륙이나 섬 사이를 잇는 가늘고 긴 땅.
  • : (1)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 약쑥을 비벼서 쌀알 크기로 빚어 살 위의 혈(穴)에 놓고 불을 붙여서 열기가 살 속으로 퍼지게 한다.
  • : (1)고려 시대에, 궁중에서 근시(近侍)의 일을 맡아보던 여섯 관아. 상식국, 상약국, 상의국(尙衣局), 상의국(尙醫局), 상사국, 상승국을 이른다. (2)중국 전국 시대의 제후국(諸侯國) 가운데 진(秦)나라를 제외한 여섯 나라. 초나라, 연나라, 제나라, 한나라, 위나라, 조나라를 이른다. (3)아이를 보살펴서 자라게 함.
  • : (1)중국 주나라 때에, 천자가 통솔하던 여섯 개의 군(軍). 1군에 1만 2500명씩 모두 7만 5000명으로 이루어졌다. (2)주로 땅 위에서 공격과 방어의 임무를 수행하는 군대.
  • : (1)광상(鑛床)이 지표에 있거나 지표 가까이 있어서 그 위를 덮고 있는 암석이나 흙 따위를 제거하기만 하고, 갱을 만들지 않고 직접 캐내는 일.
  • : (1)옛 중국의 궁중에 있었던 황후의 궁전과 부인 이하의 다섯 궁실. (2)바둑에서, 빈 집이 여섯 집인 형세. 정육궁과 매화육궁이 있다.
  • : (1)지구에서 육지의 범위.
  • : (1)매우 불길하게 여기는 여섯 가지 일. 변사(變死)와 요사(夭死), 질(疾), 우(憂), 빈(貧), 악(惡), 약(弱)을 이른다. (2)인체에서 중요한 여섯 곳. 기극(氣極), 혈극(血極), 근극(筋極), 골극(骨極), 기극(肌極), 정극(精極)을 이른다. (3)천지(天地)와 사방(四方)을 통틀어 이르는 말. (4)살이 여위고 윤택하지 못하며 살갗이 유황색을 띠는 증세.
  • : (1)육식(六識)을 낳는 눈, 귀, 코, 혀, 몸, 뜻의 여섯 가지 근원.
  • : (1)여섯 가지의 길짐승. 또는 여섯 가지의 날짐승. 고라니, 노루, 사슴, 곰, 멧돼지, 토끼의 길짐승이나 기러기, 메추리, 종다리, 꿩, 산비둘기, 집비둘기의 날짐승을 이른다.
  • : (1)중국 철학에서, 천지 사이에 있다는 여섯 가지 기운. 음(陰), 양(陽), 풍(風), 우(雨), 회(晦), 명(明)을 이른다. (2)사람 몸에 흐르는 여섯 가지 기운. 호(好), 오(惡), 희(喜), 노(怒), 애(愛), 낙(樂)을 이른다. (3)음양(陰陽)의 여섯 가지 기운. 한(寒), 서(暑), 조(燥), 습(濕), 풍(風), 화(火)를 이른다. (4)밀교에서 쓰는 법구(法具)의 하나. 작은 종지에 그릇 받침이 붙은 금동제 그릇으로, 여섯 개가 한 벌이다. (5)몸에 살이 붙은 정도. (6)고기로 만든 음식. (7)중국 진(晉)나라의 문인(260~303). 자는 사형(士衡). 동생 육운과 더불어 이륙(二陸)이라고 칭송된다. 오(吳)나라가 망한 후, 동생과 함께 진나라에서 벼슬하였다. 화려한 문장을 썼으며, 조식(曹植) 이후의 제일인자로 꼽힌다. 주요 저서에 ≪문부(文賦)≫, ≪변망론(辨亡論)≫, ≪육사형집(陸士衡集)≫ 따위가 있다.
  • : (1)여섯 가지의 어려운 일. 불세(佛世)를 만나기 어려움, 정법(正法)을 듣기 어려움, 착한 마음을 내기 어려움, 문명(文明)한 나라에 태어나기 어려움, 사람의 몸을 얻기 어려움, 모든 근(根)을 갖추기 어려움을 이른다.
  • : (1)‘미투리’의 방언
  • : (1)일반적으로 무척추동물의 모체에서, 수정란이 어느 정도 발육할 때까지 그것을 수용ㆍ보호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
  • : (1)‘육니하다’의 어근. (2)절지동물문 그리맛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지네와 가까운 종류로 다리가 여러 쌍이며 머리에 긴 더듬이가 있다. 어둡고 습한 곳에서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다. 전 세계에 분포한다.
  • : (1)복종ㆍ항복ㆍ사죄의 표시로 윗옷의 한쪽을 벗어 상체(上體)의 일부를 드러내는 일.
  • : (1)저속하고 품격이 낮은 말이나 이야기.
  • : (1)‘최남선’의 호.
  • : (1)만물을 생성하는 여섯 가지 요소. 지대(地大), 수대(水大), 화대(火大), 풍대(風大), 공대(空大), 식대(識大)를 이른다.
  • : (1)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여섯 가지 도의(道義). 지(知), 인(仁), 성(聖), 의(義), 충(忠), 화(和)를 이른다. 중국 주나라 때 지관(地官) 대사도(大司徒)가 국민 교육의 필수로서 가르친 것이다. (2)찰나(刹那)의 10분의 1이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19을 이른다. (3)예전에, 찰나의 억분의 1이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96을 이른다. (4)몸에 살이 많아 덕스러운 모양.
  • : (1)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 가지 덕목. 보시, 인욕, 지계, 정진, 선정, 지혜를 이른다. (2)삼악도와 삼선도(三善道)를 통틀어 이르는 말. 중생이 선악의 원인에 의하여 윤회하는 여섯 가지의 세계이다. (3)중국 주(周)나라 태공망이 지은 병법서(兵法書). 무경칠서의 하나로 문도(文韜), 무도(武韜), 용도(龍韜), 호도(虎韜), 견도(犬韜), 표도(豹韜)의 6장으로 되어 있다. 6권 60편. (4)몸이 살이 쪘는가 여위었는가, 몸집이 큰가 작은가, 체질이 튼튼한가 약한가를 가늠해 보는 진찰법. (5)지질상 대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섬. 보통 대륙의 일부가 단층, 침식으로 인하여 대륙에서 떨어져 나오거나, 바다 밑의 융기에 의하여 생긴 섬을 이른다. (6)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속하는 섬. 면적은 0.07㎢. (7)육지의 형태를 그린 지도. (8)밭에 심어 기르는 벼. 볍씨를 뿌려 가꾸는데 알이 굵고 잘 여문다.
  • : (1)썩은 고기에 생기는 독.
  • : (1)주로 고기를 얻으려고 살지게 기르는 돼지.
  • : (1)십이율 가운데 음성(陰聲)에 속하는 여섯 가지 소리. 대려, 협종, 중려, 임종, 남려, 응종을 이른다.
  • : (1)덩어리가 크고 둔함.
  • : (1)‘뭍’의 방언
  • : (1)육체적인 쾌락.
  • : (1)유월과 섣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도가(道家)에서 행하는 여섯 가지 제사. 천랍(天臘), 지랍(地臘), 초랍(初臘), 사랍(蜡臘), 궁랍(窮臘), 정랍(正臘)을 이른다.
  • : (1)조선 후기에 둔, 호조ㆍ예조ㆍ형조의 정랑 세 사람과 좌랑 세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고기를 먹는 양. (2)뒤섞여 어지러이 달림. (3)제멋대로 날뜀. (4)육지, 곧 본토에 본관(本貫)을 두고 사는 양씨(梁氏)를 제주의 양씨(梁氏)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 (1)십이율 가운데 음성(陰聲)에 속하는 여섯 가지 소리. 대려, 협종, 중려, 임종, 남려, 응종을 이른다.
  • : (1)서로 힘을 모음.
  • : (1)유교 사회에서 행하는 여섯 가지 큰 의식.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향례(鄕禮), 상견례(相見禮)를 이른다. (2)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혼인의 여섯 가지 예법. 납채, 문명(問名), 납길, 납폐, 청기(請期), 친영을 이른다.
  • : (1)육상(陸上)으로 난 길.
  • : (1)여섯 마리의 용. (2)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말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수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건괘(乾卦)의 육효.
  • : (1)살로만 된 혹. (2)먹을 수 있는 짐승의 고기 종류.
  • : (1)아래위의 눈꺼풀.
  • : (1)십이율 가운데 양성(陽聲)에 속하는 여섯 가지 소리. 황종, 태주, 고선, 유빈, 이칙, 무역을 이른다. (2)부관참시를 하는 형법.
  • : (1)야드파운드법에 의한 거리의 단위. 1마일은 약 1.6km에 해당한다. 기호는 mil. (2)‘육리하다’의 어근.
  • : (1)고기의 숲이라는 뜻으로, 잔치 따위에 고기가 많이 있는 사치스러운 모양을 이르는 말. (2)나무를 심거나 씨를 뿌려 인공적으로 나무를 가꾸는 일.
  • : (1)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말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수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천지와 사방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하늘과 땅, 동ㆍ서ㆍ남ㆍ북이다. (2)가로무늬근 섬유의 외부를 싼 얇은 막.
  • : (1)사람을 미혹하게 하는 여섯 가지라는 뜻으로, ‘육경’을 달리 이르는 말.
  • : (1)여섯 가지 맥박. 부(浮), 침(沈), 지(遲), 삭(數), 허(虛), 실(實)의 맥을 이른다.
  • : (1)여섯 개의 직선에 싸인 평면. (2)적모(嫡母), 계모(繼母), 양모(養母), 자모(慈母), 서모(庶母), 유모(乳母)를 통틀어 이르는 말. (3)‘육묘’의 북한어.
  • : (1)타짜꾼이 쓰려고 일부러 맞추어 만든 60장으로 된 투전.
  • : (1)여섯 가지의 꿈. 사실과 일치하는 꿈인 정몽(正夢), 놀라는 꿈인 악몽(愕夢), 생각하는 꿈인 사몽(思夢), 현실의 꿈인 오몽(寤夢), 즐거워하는 꿈인 희몽(喜夢), 두려워하는 꿈인 구몽(懼夢)을 이른다.
  • : (1)어린모나 묘목을 키우거나 기름.
  • : (1)승려가 평소에 지니고 다니는 여섯 가지 용구(用具). 복의, 상의, 내의, 녹수낭, 바리때, 좌구를 이른다. 죽을 때는 간병인에게 준다.
  • : (1)여섯 가지의 곡물. 벼, 기장, 피, 보리, 조, 콩을 이른다. (2)쓰고, 달고, 짜고, 싱겁고, 시고, 매운 여섯 가지 맛. 온갖 맛을 이른다. (3)숙지황, 구기자, 산수유 따위의 여섯 가지 약재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폐결핵에 좋다. (4)고기로 만든 음식. (5)고기의 맛.
  • : (1)죄를 지은 백성.
  • : (1)죄인의 옷을 벗기고 알몸뚱이 상태로 묶음. (2)바싹 가까이 다가붙음.
  • : (1)다른 동물이나 물체에 달라붙기 위한 기관. 둘레 벽의 근육을 수축시켜 빈 곳을 만들고 내부의 우묵한 부분의 압력을 낮추어 흡착하는데 접시 모양, 혹 모양, 쟁반 모양 따위가 있다. 촌충, 낙지나 오징어의 발, 빨판상어의 입 따위에서 볼 수 있다. (2)고기 표면의 이상 반점.
  • : (1)먹은 음식을 속되게 이르는 말.
  • : (1)여섯 방위. 동, 서, 남, 북, 상, 하를 이른다. (2)조선 시대에, 승정원 및 각 지방 관아에 둔 여섯 부서. 이방(吏房), 호방(戶房), 예방(禮房), 병방(兵房), 형방(刑房), 공방(工房)을 이른다. (3)일반적으로 무척추동물의 모체에서, 수정란이 어느 정도 발육할 때까지 그것을 수용ㆍ보호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
  • : (1)음양가에서, 구성(九星)의 하나인 ‘금성’을 이르는 말. 그 자리는 건방인 서북쪽이다. (2)화투 놀이의 하나. 얻은 점수가 육백 점이 될 때까지 겨룬다.
  • : (1)십계(十界) 가운데 여섯 가지 범부의 세계.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을 이른다.
  • : (1)동양화를 그릴 때의 여섯 가지 화법. 중국 남제의 사혁이 지은 <고화품록>에 나오는 말로, 기운생동ㆍ골법용필(骨法用筆)ㆍ응물상형(應物象形)ㆍ수류부채ㆍ경영위치ㆍ전이모사(轉移模寫)를 이른다. (2)여섯 가지의 기본이 되는 법률. 헌법, 형법, 민법, 상법, 형사 소송법, 민사 소송법을 이른다. (3)상한(傷寒)을 치료하는 여섯 가지 방법. 한법(汗法), 토법(吐法), 하법(下法), 온법(溫法), 청법(淸法), 보법(補法)을 이른다.
  • : (1)원구(圜丘), 풍운(風雲), 뇌우(雷雨) 따위 천신 제향 때에 쓰던 강신악. 협종(夾鍾)을 으뜸음으로 한 음악으로 협종의 방위가 묘(卯)이고, 묘의 수(數)가 여섯인 데서 이르는 말이다.
  • : (1)정치를 행하는 여섯 가지 권력. 신하나 백성의 생(生), 살(殺), 빈(貧), 부(富), 귀(貴), 천(賤)을 자유로 하는 권력을 이른다.
  • : (1)고기를 먹어서 몸을 보함. (2)국악에서,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구음(口音)으로 기록한 악보. 거문고의 경우 ‘딩, 동, 당, 둥, 덩’ 따위로 적는다. (3)일본에서 아리베리에 도요노카를 교배하여 육성한 딸기 품종의 하나. 과실은 난원형으로 밝은 등적색이며 광택이 우수하다. 과육 역시 붉으며, 과피가 단단하여 저장성과 수송성이 우수하다. 당도가 높고 산미가 적어 맛이 좋다.
  • : (1)중국 주(周)나라 때에, 왕성의 외부를 왕성으로부터의 거리를 근거로 해서 나눈 여섯 구획. 후복(侯服), 전복(甸服), 남복(男服), 채복(采服), 위복(衛服), 만복(蠻服)을 이른다. (2)중국 주나라 때에, 천자와 왕후가 입던 여섯 가지 의복.
  • : (1)‘육군 본부’를 줄여 이르는 말. (2)1996년에 구축된 인터넷 통신 규약 버전 육이 취급하는 기간망. 현재 인터넷이나 티시피 아이피 망은 인터넷 통신 규약 버전 사를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 통신 규약 버전 육 관련 기술을 연구ㆍ개발하기 위한 통신망으로 북미, 유럽과 아시아 등 40여 개국의 연구 기관과 라우터 벤더 등이 접속되어 있다. 육본의 특징은 현재의 인터넷상에서 가상적으로 인터넷 통신 규약 버전 6을 취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 : (1)낙타의 등에 있는, 지방이 모여서 이룬 큰 혹. 단봉과 쌍봉이 있다. (2)바다에 사는 동물이 바다와 분리되어 있는 호수나 늪 따위에서 세대를 되풀이하는 일. 연어, 송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 (1)여러 가지 재용(財用)의 여섯 가지 구성 요소. 수(水), 화(火), 금(金), 목(木), 토(土), 곡(穀)을 이른다. (2)고대 중국에서 토목기용(土木器用)을 관장한 여섯 관직. 사토(司土), 사목(司木), 사수(司水), 사초(司草), 사기(司器), 사화(司貨)를 이른다. (3)배 속에 있는 여섯 가지 기관. 위, 큰창자, 작은창자, 쓸개, 방광, 삼초를 이른다. 음식물을 받아들여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며 찌꺼기를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4)신라 때에, 씨족을 중심으로 나눈 경주의 여섯 행정 구역. 급량부, 사량부, 본피부, 점량부, 한지부(漢祇部), 습비부(習比部)를 이른다. (5)고려 시대에, 행정을 나누어 맡아보던 여섯 관아. 성종 14년(995)에 육관(六官)을 고친 것으로 이부, 호부, 병부, 예부, 형부, 공부를 이른다. (6)수나라 때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중국에서 행정을 나누어 맡아보던 여섯 관아.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를 이른다. (7)배 속에 있는 여섯 가지 기관. 위, 큰창자, 작은창자, 쓸개, 방광, 삼초를 이른다. 음식물을 받아들여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며 찌꺼기를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8)백제 때에, 궁중의 사무를 관장하는 내관(內官) 12부 가운데 육미(肉味)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 : (1)조선 선조 말에서 광해군 초에 걸쳐 이산해를 중심으로 형성된 대북(大北)의 일파. 인조반정으로 세력이 꺾여 그 뒤 없어졌다.
  • : (1)비료나 사료 따위를 만들기 위하여 짐승의 살을 말려서 만든 가루.
  • : (1)대륙 주위에 분포하는 극히 완만한 경사의 해저. 대륙붕 끝부분의 깊이는 100~500미터이며, 평균 깊이는 200미터이다.
  • : (1)임금의 수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임금의 수레를 끄는 말이 여섯 마리인 데서 유래한다. (2)‘기비’의 북한어.
  • : (1)육지를 널리 덮은 얼음. 주로 비가 얼어서 생성되는데, 계절적인 것과 영속적인 것이 있다.
  • : (1)고려 시대에, 나라의 주요한 일을 맡아보던 여섯 관아. 육부(六部)ㆍ육조(六曹)의 전신(前身)으로, 전리사ㆍ판도사ㆍ전법사ㆍ군부사ㆍ예의사ㆍ전공사를 이른다. (2)나라에 해로운 여섯 유형의 신하. 구신(具臣), 유신(諛臣), 간신(奸臣), 참신(讒臣), 적신(賊臣), 망국신(亡國臣)을 이른다. (3)사람이 지켜야 할 여섯 가지 일. 자(慈), 검(儉), 근(勤), 신(愼), 성(誠), 명(明)을 이른다. (4)중국 주(周)나라 때의 육경(六卿). (5)중국 주나라 때에, 천자가 통솔하던 여섯 개의 군(軍). 1군에 1만 2500명씩 모두 7만 5000명으로 이루어졌다. (6)‘육군 사관 학교’를 줄여 이르는 말. (7)‘이활’의 호. (8)형벌을 입어 죽음.
  • : (1)고기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비만한 육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경제력이 좋은 큰 절. (4)지옥에 있는 시체의 산. 남의 물건을 훔친 사람들이 떨어지며, 영원히 화형(火刑)을 당한다고 한다. (5)뭍에서 나는 물건.
  • : (1)사람을 마구 죽임.
  • : (1)화엄종에서 말하는, 만유(萬有)가 가지고 있는 총상ㆍ별상ㆍ동상ㆍ이상ㆍ성상ㆍ괴상의 여섯 가지 상. (2)뭍 위. (3)달리기, 뛰기, 던지기를 기본 동작으로 하여 육상에서 행하여지는 각종 경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트랙 경기, 필드 경기, 마라톤 따위가 있다.
  • : (1)절에서 큰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분담하여 만드는 일. (2)살갗의 빛깔. (3)살빛처럼 불그스름한 빛.
  • : (1)희생(犧牲)으로 쓰는 여섯 가지 가축. 말, 소, 양, 닭, 개, 돼지를 이른다. (2)뭍에서 남. 또는 뭍에서 나는 것.
  • : (1)한자의 구조 및 사용에 관한 여섯 가지의 명칭.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를 이른다. (2)한자의 여섯 가지 서체(書體). 대전(大篆)ㆍ소전(小篆)ㆍ예서(隷書)ㆍ팔분(八分)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 또는 고문(古文)ㆍ기자(奇字)ㆍ전서(篆書)ㆍ예서(隷書)ㆍ무전(繆篆)ㆍ충서(蟲書)를 이른다. (3)뭍에서 삶.
  • : (1)고기붙이로 만든 반찬.
  • : (1)원구(圜丘), 풍운(風雲), 뇌우(雷雨) 따위 천신 제향 때에 쓰던 강신악. 협종(夾鍾)을 으뜸음으로 한 음악으로 협종의 방위가 묘(卯)이고, 묘의 수(數)가 여섯인 데서 이르는 말이다. (2)황금의 품질을 10등급으로 나누었을 때의 다섯째 등급. (3)중국 당나라 때에 둔 중앙 정부의 여섯 관아. 상서성(尙書省), 중서성(中書省), 문하성(門下省), 비서성(祕庶省), 전중성(殿中省), 내시성(內侍省)을 이른다. (4)사람의 입에서 직접 나오는 소리. (5)길러 자라게 함.
  • : (1)절에서 큰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분담하여 만드는 일. (2)남을 비웃음. (3)‘육우’의 방언
  • : (1)각종 짐승의 고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끊이지 않고 계속함.
  • : (1)포도송이의 상층부에서 어깨처럼 갈라져 나온 작은 포도송이. 일반적으로 과실의 품질을 위해 제거한다.
  • : (1)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 높이는 35미터 정도이며, 잎은 두 잎이 뭉쳐나고 피침 모양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다음 해 가을에 맺는다. 건축재, 침목, 도구재 따위의 여러 가지 용도로 쓴다. 한국, 일본, 우수리강,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2)육지에서 물건을 실어 나름.
  • : (1)말 나이의 여섯 살 (2)고기를 삶아 낸 물. (3)칠면조나 닭과 같은 동물의 수컷에서, 부리가 시작되는 부위에서 목의 배 쪽으로 늘어진 부드러운 피부의 융기. (4)각종 짐승의 고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5)바닷물 이외에 육지에 있는 모든 물. 호수ㆍ하천의 물과 지하수, 설빙(雪氷) 따위로 증발과 유동(流動)을 되풀이하여 지구상을 순환한다. (6)육로를 이용하여서 물건을 실어 나름.
  • : (1)예순 날. (2)예순 살. (3)사람이 좇아야 할 여섯 가지 도리. 곧 군의(君義), 신행(臣行), 부자(父慈), 자효(子孝), 형애(兄愛), 제경(弟敬)을 이른다.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육으로 끝나는 단어 (819개) : 교정 교육, 등 근육, 노인 문화 예술 교육, 관리자 교육, 태아 발육, 화학 교육, 피하 근육, 사육, 조상지육, 과중교육, 굽힘 근육, 민주 시민 교육, 제육편육, 원리교육, 완성 교육, 가로 돌기 가시 근육, 환자 교육, 신기술 창업 보육, 자유 교육, 건조육, 구내 보육, 탈입시 교육, 노동자 교육, 단발성 교육, 부정육, 숙성육, 집약 사육, 비육, 조임 근육, 목 근육 ...
육으로 끝나는 단어는 81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육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20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